티스토리 뷰

반응형

생활을 할 때는 한 달 기준으로 계획을 세웁니다. 그중 제일 큰 이슈는 매달 고정으로 나가는 비용이 있는데 어떻게 하면 아낄 수 있을지, 특히 통신비는 생활에 꼭 필요하지만 생각보다 많은 금액이 지출되는 항목입니다. 어떻게 하면 꼭 필요하지만 어떻게 절약해야 하는지 그래서 최근 많은 사람들이 알뜰 요금제를 사용하시는 분들이 많아졌습니다. 가장 많이 하는 질문 3가지를 중심으로 정리했습니다. 같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통신비 관련 일러스트 이미지 < 출처 : 카카오페이 >
< 출처 : 카카오페이 >

 

Q. 한 달 통신비 얼마나 사용하나?

① 1만 원 내외 ② 3만 원 내외 ③ 5만 원 내외 ④ 8만 원 내외

 

 

1. Q. 알뜰 요금제는 왜 저렴할까?

알뜰폰(MVNO)은 마케팅, 멤버십, 판매비 등에 사용되는 비용을 줄여서 가격이 저렴한 통신 요금제입니다. 가격이 싸니까 퀄리티가 떨어지는 게 아닐까 걱정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알뜰폰 요금제는 통신 3사(SKT, KT, LG U+)의 통신망을 빌려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데이터나 통화품질에는 차이가 없습니다.

 

대신 대부분 부가적인 서비스가 적습니다. 멤버십 포인트와 같은 혜택을 받을 수 없고, 고객 상담 지원이 비교적 열악합니다. 최근에는 이런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eBook 서비스나 카드사 할인 등 추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알뜰 요금제도 있습니다.

 

 

2. Q. 나중에 위약금을 물어야 할까?

아닙니다. 알뜰폰 요금제는 단말 기기 요금과 연계된 할인 약정이 없기 때문에 언제든 내가 원하는 요금제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기존에 쓰던 휴대폰과 번호를 그대로 사용하면서 통신 요금제만 바꿔서 사용할 수도 있고, 요금제는 계속 이용하면서 단말기만 바꿀 수도 있습니다.

 

3. Q. 실제로 얼마나 아낄 수 있을까?

통신비는 매월 지출되는 고정비용이기 때문에 조금만 아껴도 모이면 그 금액 차이가 굉장히 큽니다.

 

  기존 3사 알뜰 요금제
데이터 1G ~ 2.5G 월 2만원 ~ 4만원 월 3천원 ~ 1만원
데이터 100GB 월 6만원 ~ 8만원 월 2만원 ~ 3만원

*예시 금액으로, 실제와 다를 수 있습니다.

 

만약 매월 데이터 100GB를 사용하고 있다면 기존 3사에서는 보통 통신비로 월 6만 원 ~ 8만 원을 내야 하지만, 알뜰 요금제로는 월 2만 ~ 3만 원이면 가입할 수 있습니다. 월 5만 원씩 아낀다면 1년 동안 60만 원을 아낄 수 있습니다.

 

< 금액 비교할 때 주의하시길 바랍니다. >

프로모션 기간 동안만 할인 금액으로 사용할 수 있는 상품에 가입한 경우, 기간이 종료되면 할인 금액보다 더 높은 월 이용료를 납부해야 될 수도 있습니다. 내가 가입한 상품이 언제까지 할인을 지원하는지 종료 시점을 꼭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재테크는 작은 습관에서 시작하는 것이라 합니다. 작은 비용들이 모여 큰 지출이 되지 않도록 알뜰하게 통신비를 관리해 보시길 바랍니다.


 같이 보면 좋을 포스팅 

 

주유소에서 하면 안되는 일 - 과태료 500만원

자동차를 가지고 있는 분들이라면 주유소에 가는 것은 일상입니다. 그런데 주유소에서 주유를 하면 가끔 몰상식한 사람들을 볼 수 있습니다. 위험한 것을 알고 있을 텐데도 그 주위에서 담배를

money-ssalon.com

 

3만원대 5G요금제 등장 - 알뜰폰보다 이득

기술이 점점 발달할수록 편해지는 것이 있습니다. 그런데 편해지는 대신 경제적으로 많은 부담감을 느낄 수밖에 없습니다. 몇 해전 5G가 나왔을 때도 그렇고 점점 폰도 웬만한 가전제품 값을 넘

hazzza.money-ssalon.com

 

공짜폰, 단통법 곧 폐지

지금의 젊은 세대는 모르겠지만 예전에는 휴대폰을 구입할 때 공짜폰이나 어느 정도의 금액을 보조해 주는 대리점에 많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단통법이 생겼을 때 참 많이 아쉬웠던 기억이 있

hazzza.money-ssalon.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