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대출을 받을 때 선택하는 것 중 하나는 상환 방식입니다. 원금 균등 분할, 원리금 균등 분할, 만기 일시. 셋 중 하나를 택하면 됩니다. 상환 방식에 따라 이자가 다르다고 하는데 같이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원금 균등 분할 상환
대출 원금을 대출 기간 중 똑같이 나눠 갚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대출금 1억 원, 기간 10년(120개월), 이자율 3%라면, 1억 원을 120개월로 나눈 약 83만 3,333원과 이자를 매달 갚습니다. 이자는 매달 남은 원금 기준으로 계산합니다. 장점은 원리금 균등 분할 상환보다 총이자액이 적다는 점인데 또 만기에 가까워지면 그간 원금을 많이 갚아왔기 때문에 상환액이 줄어 부담이 덜합니다. 단점은 대출 초기에 부담이 크다는 것인데 초기엔 남은 원금이 많아 이자액도 높아져서입니다. 또 매달 내는 금액이 달라져서 재정 계획을 짤 때 혼란이 생길 수 있습니다.
< 원금 균등 분할 상환 >
2. 원리금 균등 분할 상환
대출 원금과 이자를 더한 총액을 만기일까지 매달 똑같이 나눠 갚습니다. 먼저 이자와 원금을 모두 더한 값을 대출기간(월)으로 나눈 뒤, 이를 기준으로 원금과 이자의 비율을 조정합니다.장점은 매달 갚아야 할 상환액(원금+이자)이 일정하다는 것입니다. 월급이 일정한 직장인이 재정 계획을 안정적으로 세우기 편합니다. 단점은 대출기간 끝나는 시점까지 원금 상환 부담이 크다는 점입니다. 대출 초기엔 상환액 중 이자 비중이 높다가, 점차 원금 비중이 높아지는 구조이기 때문입니다.
< 원리금 균등 분할 상환 >
< 만기 일시 상환은? >
만기가 됐을 때 전체 원금을 한 번에 갚는다는 뜻입니다. 만기 전까지는 이자만 내면 됩니다. 대출금을 쓰는 동안 부담이 가장 적은 대신, 만기에 목돈이 필요합니다. 세 가지 상환 방식 중에 총이자액이 가장 높습니다.
같이 보면 좋을 포스팅
신용카드 할부 vs 리볼빙, 뭐가 다를까?
이제는 많은 사람들이 현금보다는 카드를 많이 사용합니다. 카드를 사용하면서 몇 개월 할부와 리볼빙 신청을 들어보셨으리라 생각합니다. 할부와 리볼빙, 무엇이 어떻게 다른지 많이들 헷갈려
money-ssalon.com
청약통장에 25만 원씩 넣아야 할까?
내 집 마련이 첫 번째 해야 할 일이라고 생각하는 대한민국 국민들에게 좀 서운한 소식이 있습니다. 내 집 마련을 위한 제일 좋은 방법은 청약통장을 만들어 돈을 정기적으로 넣는 것입니다. 예
money-ssalo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