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지난 4일 미국 노동부가 9월 고용 지표를 공개했는데 비농업 분야 일자리가 전월 대비 25만 4,000개 증가했다고 밝혔습니다. 그런데 고용 지표가 오르는 것은 좋은 일이지만 분야가 농업이라면 좀 다르게 생각해야 하는 것이 아닐까라는 의문이 듭니다. 지금처럼 AI시대에 농업이라 말입니다. 강대국 중 최강대국이라 일컫는 미국이 미국의 경제가 괜찮은 것인지 같이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미국경제 관련 일러스트 이미지 < 출처 : 카카오뱅크 >
< 출처 : 카카오뱅크 >

 

 

1. 시장을 놀라게 한 일자리 지표

1) 월가에서 예상한 증가폭인 15만 명을 크게 웃돌아

실업률도 4.1%로 떨어졌는데 전월보다 0.1%p 낮아진 수치입니다. 시간당 평균 임금도 전월 대비 0.4% 올라 미국의 고용 시장이 여전히 건재하다는 것을 보여줬는데 발표 이후 경기 침체 우려는 크게 줄어는 상태입니다. 고용 시장이 예상과 달리 탄탄하게 버티는 데다, 인플레이션 우려를 낳았던 항만 노조 파업 역시 3일 만에 끝났기 때문입니다.

 

2. 빅컷, 더 있을까?

발표 당일 다우 지수, S&P500 지수, 나스닥 뉴욕증시 3대 지수는 모두 올랐습니다. 특히 테슬라, 아마존 등 경기에 민감한 기술주도 마찬가지입니다. 이에 따라 연준의 빅컷(기준금리 0.5%p 인하) 가능성도 낮아졌습니다. 발표 이전엔 금리 예측 도구인 시카고상품거래소 페드워치가 빅컷 가능성을 53%로 내다봤는데 이 지표가 0으로 낮아지고, 일부는 금리 동결 가능성까지 점치고 있습니다.

 

 

3. 우리나라 금리엔 어떤 영향이 있을까?

금리 인하 폭이 줄어들 것이라 예상되자 달러 가치도 올랐습니다. 지난 4일, 달러 인덱스는 전날보다 0.51% 오른 102.27. 5일 새벽, 달러/원 환율 역시 1349.50원까지 치솟았습니다.

 

< 달러 인덱스(DXY) >

세계 주요 6개 통화에 대한 미국 달러 가치의 평균 가치를 나타낸 수. 6개 통화는 유럽의 유로, 일본의 엔, 영국의 파운드, 캐나다의 캐나다달러, 스웨덴의 크로나, 스위스의 프랑입니다.


미국 빅컷 가능성이 낮아졌지만, 한국은행은 11일 기준금리를 내렸습니다. 지난 9월 미국의 빅컷으로 한미 금리차가 줄어 금리를 내릴 여유가 생겼고, 현재 국내 내수가 줄어 금리 인하가 시급했기 때문입니다. 또 지난달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 3년 6개월 만에 1%대를 기록해, 금리를 내렸을 때 물가가 오를 걱정도 한시름 덜었습니다. 다만, 금리를 내려도 천천히 내릴 듯합니다. 적어도 올해 안엔 한 차례만 내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첫째는 금리를 내렸을 때 부동산 가격이 치솟고 가계 부채가 빠르게 늘어나는 상황을 피하고자, 둘째는 미국과의 금리 차를 맞추기 위해서입니다.

 

 
 

<오늘의 돋보기 요약 >

① 9월 미국 고용 지표가 시장 기대를 넘어섰습니다.
② 연준의 기준금리 인하 폭도 줄어들 전망입니다.
③ 국내 기준금리는 한 차례 내려갈 듯 보입니다.


 같이 보면 좋을 포스팅 

 

일본 지폐가 20년 만에 바뀐다.

우리나라 지폐는 아니지만 가깝고 도 먼 나라인 일본의 지폐가 새롭게 바뀐다는 소식이 있어 간단하게 알아보고자 합니다. 재미로 같이 알아봅시다. 20년 만에 1천엔 권과 5천엔 권, 1만 엔 권이

hazzza.money-ssalon.com

 

미국의 빅컷, 우리나라 금리는?

대한민국의 최대 우호국이라고 하는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가 지난 18일 기준금리를 0.5%P를 내린다는 빅컷을 발표했는데 많은 것을 수출입하는 우리나라와 또 다른 많은 나라들의 반응은 어떠

money-ssalon.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