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가을이 점차 지나가고 있는 때 많은 사람들이 시즌에 상관없이 결혼을 많이 합니다. 그런데 이 결혼식에 고민되는 한 가지가 있습니다. 바로 축의금인데 얼마를 내야 적당할지 많은 사람들이 망설여합니다. 축의금을 내야 하는 상대방과의 관계에 따라 가격이 달라진다고 하는데 어떻게 내고 있는지 같이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Q. 결혼식 축의금, 얼마가 적당할까?
①5만 원 ②7만 원 ③10만 원 ④10만 원 초과
1. 액수는 관계에 따라 결정합니다.
결혼식 축의금의 기준이 정해져 있지 않다 보니 다들 한 번쯤은 고민하게 되는데, 대부분의 하객들은 신랑, 신부와의 관계에 따라 축의금을 정한다고 합니다.
2023년 취업포털 인쿠르트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거의 매일 연락하고 자주 만나는 친구는 20만 원, 사적으로 자주 소통하는 동료는 10만 원, 가끔 연락하고 그냥 알고 지내는 사이와 협업할 때만 마주하는 동료는 5만 원이 적당하다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요즘은 물가가 높아지면서 1인 식대를 고려해 결정하는 경우도 많다고 합니다. 특히 밥값이 비싼 호텔 결혼식은 일반 결혼식보다 평균 2만 원~5만 원 정도 더 내는 경향도 있다고 합니다. 반대로 결혼식에 직접 참석하지 않으면 축의금을 덜 내도 된다는 의견에 대체로 동의한다고 합니다.
2. 실제로는 이만큼 내고 있습니다.
전 국민이 사용하는 카카오페이의 송금 데이터로 축의금의 경향을 살펴보았습니다. 축결혼 송금봉투를 통해 돈을 보낸 사람을 기준으로 분석해 보니, 올해 상반기 기준 평균축의금은 약 90,000원이었습니다.
< 연도별 평균 축의금 >
물가에 따라 축의금도 매년 오르고 있습니다. 5년 전과 지금을 비교하면 평균 축의금 액수가 3,8000원이나 오른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특히 2020년에는 축의금 송금 건수가 2019년에 비해 2배 가까이 증가하고, 평균 금액도 급격하게 높아졌습니다. 당시 코로나19가 크게 유행하면서, 결혼식장에 직접 가지 못하고 송금으로 마음을 전하는 분들이 늘어났던 것으로 해석됩니다.
< 연령대별 평균 축의금 >
연령대별 축의금은 어떨까요? 10대는 약 2만 원, 20대는 6만 원, 30대~40대는 10만 원 후반, 50대~60대는 12만 원 정도를 내고 있습니다. 나이에 따라서는 평균 금액이 꽤 차이가 납니다.
3. 꼭 현금으로 내야 할까?
종이가 아닌 모바일 청첩장이 익숙해진 것처럼, 이제 축의금도 모바일로 주고받는 시대라고 합니다. 기존에는 결혼식에 직접 참석하지 못하면 다른 사람들을 통해 축의금을 전달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는데, 이제는 계좌번호 정보 없이도 카톡으로도 바로 송금이 가능하다 보니 모바일 축의금 사용률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 연도별 축의금 봉투 사용건 수 >
실제로 카카오페이 송금을 통해 축의금을 전달하는 분들이 점점 많아지고 있고, 카카오페이 축결혼 봉투의 사용 건수는 2019년에 비해 2023년 360% 증가했습니다. 결혼식 당일 급하게 ATM 찾을 필요 없이, 편리하게 모바일 축의금으로 마음을 전달하는 것도 좋은 방법일 것입니다.
같이 보면 좋을 포스팅
카페, 자주 가시나요?
이 글을 읽고 계시는 여러분들은 카페를 자주 찾으십니까? 특히 직장인들은 일을 하나 피곤해서 한잔, 점심식사 후 입가심으로 한잔, 그리고 추워지고 있는 지금 또 한잔. 많이 드실 것이라 생각
money-ssalon.com